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2021년 7월 24일부터 8월 1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총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는 3세트 타이브레이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복식은 1세트씩을 얻었을 경우 매치 타이브레이크로 승패를 결정했다. 46개국에서 총 190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권순우 선수가 남자 단식에 출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모든 경기는 무관중으로 진행되었고, 폭염으로 인해 경기 시작 시간이 변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 아리아케 테니스의 숲 공원
아리아케 테니스의 숲 공원은 1983년에 개원한 일본 도쿄의 테니스 경기장이며, 2020년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시설 개보수 공사를 거쳐 하드 코트와 인조 잔디 코트를 갖추고 재팬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 등 주요 테니스 대회가 열리는 곳이다. - 올림픽 테니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파리에서 개최된 제2회 하계 올림픽의 테니스 경기로, 여자 선수 참가가 처음 허용되어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고 총 4개국 26명의 선수가 4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는 혼합팀이 출전하기도 했다. - 올림픽 테니스 - 18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는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볼랜드가 단식 금메달, 프리드리히 트라운과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합팀도 복식에서 메달을 얻었다. - 올림픽 테니스에 관한 -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90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파리에서 개최된 제2회 하계 올림픽의 테니스 경기로, 여자 선수 참가가 처음 허용되어 여자 단식과 혼합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고 총 4개국 26명의 선수가 4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는 혼합팀이 출전하기도 했다. - 올림픽 테니스에 관한 - 18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는 남자 단식과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볼랜드가 단식 금메달, 프리드리히 트라운과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합팀도 복식에서 메달을 얻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테니스 |
대회 | 2020년 하계 올림픽 |
![]() | |
개최지 | 아리아케 테니스 파크 |
기간 | 2021년 7월 24일 – 2021년 8월 1일 |
참가 선수 | 191명 |
참가 국가 | 42개국 |
세부 종목 | 5개 |
이전 대회 | 2016년 |
다음 대회 | 2024년 |
에디션 | 18회 |
표면 | 하드 코트 |
다중 대회 여부 | 예 |
메달리스트 | |
여자 복식 | }} |
2. 경기 방식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총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다.[19] 모든 경기는 3세트 타이브레이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복식 경기는 1세트씩 주고받았을 경우 매치 타이브레이크(10점)로 승패를 결정했다.[20]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은 각각 64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싱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식은 6라운드, 복식은 5라운드에 걸쳐 진행되었다.[32]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나 팀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렀다.[37][38]
2021년 7월 25일, 국제 테니스 연맹(ITF)은 이상 기후 시 조치를 적용하여 선수 보호를 위해 2세트와 3세트 사이에 10분간의 휴식과 세트 브레이크 30초 연장을 허용했다.[23] 선수들의 요청과 파울라 바도사 선수가 열사병으로 기권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7월 29일부터 경기 시작 시간이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로 변경되었다.[24]
2. 1. 경기 일정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경기는 2021년 7월 24일부터 8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17] 선수들의 건강을 고려하여 경기 시간이 조정되었다.날짜 | 7월 24일 (토) | 7월 25일 (일) | 7월 26일 (월) | 7월 27일 (화) | 7월 28일 (수) | 7월 29일 (목) | 7월 30일 (금) | 7월 31일 (토) | 8월 1일 (일) |
---|---|---|---|---|---|---|---|---|---|
시작 시간 | 11:00 | 15:00 | |||||||
남자 단식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동메달 결정전 | 결승 | ||
여자 단식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 | 동메달 & 결승 | — | |
남자 복식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동메달 & 결승 | — | — | ||
여자 복식 | 32강 | 16강 | 8강 | 8강 | 준결승 | — | 동메달 | 결승 | |
혼성 복식 | — | — | — | — | 16강 | 8강 | 준결승 | 동메달 | 결승 |
올림픽 본선 진출 자격을 얻으려면 선수는 데이비스컵이나 빌리 진 킹 컵 팀에서 경기와 관련된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총 46개국이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에 참가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남자 단식 종목에 권순우 선수가 출전하였다.[25][26]
3. 예선
단식 종목의 경우 2021년 6월 14일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출전 여부가 결정되며, 남녀 각 56명, 국가당 최대 4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나머지 출전권 8명분 중에서 6명분은 자력 진출에 실패한 국가를 대상으로 대륙별 대표로 삼아 배분된다. 마지막까지 남은 2명분은 예비 출전권으로, 하나는 개최국 일본 전용, 하나는 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나 그랜드 슬램 챔피언 전용이다.[31][32]
남녀 단식 종목에서는 총 3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우선 10팀의 경우 단식 세계랭킹 10위까지 보장된 자리로, 단복식을 가리지 않고 300위 내에 든 선수를 택할 수 있다. 나머지 22팀은 종합랭킹에 따라 배정되며, 전체 선수 쿼터가 충족되면 단식 선수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33] 개최국 일본의 경우 복식종목 자력진출에 실패할 경우 남녀 1팀씩 자동진출권이 부여된다.[31]
혼성 복식은 별도의 출전권 배분이 없고 대신 단복식에 출전한 선수들로 모든 출전팀이 구성된다. 따라서 혼성랭킹 15위권 팀과 개최국 일본이 경기에 참가하게 된다.[31][34]
단식과 복식을 합하여 총 190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출전 선수는 2017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비스 컵 또는 빌리 진 킹 컵(구 페드컵)에서 원칙적으로 3회(조건에 따라 2회) 이상의 대표 경력이 필요하다.
단식은 2021년 6월 14일 시점의 ATP 랭킹 및 동시점의 WTA 랭킹 상위 56명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지만, 1개국당 남녀 각각 최대 4명으로 정해져 있다. 나머지 8명 중 6명은 각 대륙 예선 쿼터로 출전한다. 2018년 아시안 게임, 2019년 아프리카 게임에서 각각 1개 쿼터, 2019년 팬아메리카 게임에서 2개 쿼터가 주어진다. 유럽과 오세아니아에서는 랭킹 최상위 선수가 대륙 예선 쿼터로 출전할 수 있다. 모두 랭킹 300위 이내에 위치하는 것이 조건이다. 그 외 개최국(다른 출전 쿼터를 획득한 선수가 없는 경우)과 과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또는 그랜드 슬램 달성자에게 각각 1명씩 주어진다.[25][26]
복식은 복식 랭킹 또는 복합 랭킹(선수별로 단식 랭킹과 복식 랭킹 중 더 좋은 쪽을 페어별로 합산)을 기준으로 1개국 2조까지 출전할 수 있지만(개최국 쿼터(남녀 1조씩) 포함), 단식과 복식을 합하여 1개국당 남녀 각각 6명 이내이다.
혼합 복식은 단식 또는 복식 출전 선수를 대상으로 복합 랭킹을 기준으로 선발되기 때문에(개최국 쿼터 1조 포함), 혼합 복식만 출전하는 선수는 없다.
20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에 참가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국가 선수 수 아르헨티나 7 오스트레일리아 10 오스트리아 2 벨라루스 3 벨기에 4 볼리비아 1 브라질 6 캐나다 4 칠레 1 중화인민공화국 5 콜롬비아 4 크로아티아 6 체코 6 이집트 2 에스토니아 1 프랑스 10 조지아 1 독일 9 영국 6 그리스 2 인도 3 이탈리아 6 일본 11 카자흐스탄 7 라트비아 2 멕시코 2 네덜란드 4 뉴질랜드 2 파라과이 1 페루 1 폴란드 6 포르투갈 2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8 루마니아 3 세르비아 5 슬로바키아 3 대한민국 1 스페인 8 스웨덴 1 스위스 2 중화 타이베이 5 튀니지 1 우크라이나 4 미국 11 우즈베키스탄 1
4. 참가국
국가 참가 선수 아르헨티나 7 오스트레일리아 10 오스트리아 2 벨라루스 3 벨기에 4 볼리비아 1 브라질 7 캐나다 4 칠레 1 중화인민공화국 5 콜롬비아 4 크로아티아 6 체코 6 이집트 2 에스토니아 1 프랑스 10 조지아 1 독일 9 영국 6 그리스 2 인도 3 이탈리아 6 일본 (개최국) 11 카자흐스탄 7 라트비아 2 멕시코 2 네덜란드 4 뉴질랜드 2 파라과이 1 페루 1 폴란드 6 포르투갈 2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8 루마니아 3 세르비아 5 슬로바키아 3 대한민국 1 스페인 8 스웨덴 1 스위스 2 중화 타이베이 5 튀니지 1 우크라이나 4 미국 11 우즈베키스탄 1
5. 메달리스트
마린 칠리치
이반 도디그마커스 대니얼
마이클 비너스여자 단식 벨린다 벤치치 마르케타 본드로우쇼바 엘리나 스비톨리나 여자 복식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카테르지나 시니아코바벨린다 벤치치
빅토리야 골루비치라우라 피고시
루이자 스테파니혼성 복식 아나스타시야 파블류첸코바
안드레이 루블료프옐레나 베스니나
아슬란 카라체프애슐리 바티
존 피어스